1. 전자상거래(EC)
가. 개념, 주요 요소기술 5가지 및 세부 기술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EC)는 한국전산원에 따르면 개인, 기업, 정부 등의 경제 주체 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를 통해 교환되는 상품과 서비스는 가구 같은 물리적 상품 및 소프트웨어, 영상 오락물, 정보 서비스, 전문가 컨설팅, 금융 서비스, 교육 광고 등과 같이 전송 가능한 모든 종류의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관련 산업 분야의 주요 요소 기술들을 고려하여 구축되어야 하며,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에서의 주요 요소기술은 5가지가 있다.
1) 통신 기술 : 통신 기술의 세부 사항에는 통신망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이 있다. 통신망 기술에는 인트라넷, LAN, WAN 기술이 있다.
2) 메시징 기술 : 메시징 기술의 세부 사항에는 웹·멀티미디어 메시징 기술이 있다. 세부 사항으로는 HTML, CGI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세부 기술로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UMS)와 CTI(Computer Telephone Integration)가 있다.
3) 정보처리 기술 : 정보처리 기술의 세부 기술에는 웹 문서 표현 기술(HTML, XML, SGML)과 데이터베이스 기술과 멀티미디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 기술이 있다.
4) 정보 보안 기술 : 정보 보안 기술의 세부 기술에는 정보 보안 기술이 있다. 정보 보안 기술에는 방화벽과 PGP, S/MINE이 있다. 또한 암호와 기술도 정보 보안 기술에 포함된다. 암호와 기술에는 RSA, DES, S-HTTP, SET이 있다.
5) 프로세스 지원 기술 : 프로세스 지원 기술의 세부 기술에는 전자 지불 기술, 온라인 머천트 시스템,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이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에는 웹나라, 숍바인더, UNIK-AGENT 등이 있다.
나. ERP, SCM
: ERP는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자로 전사적 자원 관리를 뜻한다. 회사 내의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경영에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인사, 생산, 자재, 영업 등 모든 부서의 정보가 기업 내 전산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ERP 시스템은 글로벌 경영 체제가 구축되면서 사내 종합 정보망을 구축하여 실시간 관리를 하게 되었고, 한국 기업도 확산 및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급격한 기업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의 필요성 증대로 ERP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SCM는 Supply Chain Management의 약자로 공급 체인 관리를 뜻한다. 유통 총공급망을 관리하는 것으로 제조와 물류, 유통업체의 상품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통 총공급망 관리할 수 있다. 제조나 유통기업의 재고 최적화 및 납기 단축 전략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기업, 중견, 중소 기업에서 도입하여 시행 중이다. Chain 상의 3가지 흐름에는 정보(Information)의 흐름, 물류(Material)의 흐름, 자금(Cash)의 흐름이 있다.
2. 4차 산업혁명
가. IoT의 개념, 주요 요소기술과 사례 제시
IoT는 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사물인터넷을 뜻한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들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다. 또한 생활 속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요소기술에는 아래와 같이 4가지가 있다.
1) 센싱 기술 : 센싱 기술이란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기술을 뜻한다.
2)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사물과 네트워크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3)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정보의 가공처리와 각종 기술을 융합하는 기술이다.
4) 보안 기술 : 해킹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분야별 응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개인 IoT, 산업 IoT, 공공 IoT로 나누어 사례를 들자면 개인 IoT 분야에선 운동량 등 신체정보 제공을 통해 개인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스마트밴드가 있고, 또는 ICT 기반의 주거환경 통합 제어로 생활편의를 제공하는 스마트 가전인 LG 전자 홈챗 등이 있다. 산업 IoT 분야에는 시설물 모니터링, 농지, 작물의 생육과정 관찰을 통해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팜이 해당 응용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공공 IoT 분야에서는 대기, 질, 쓰레기 양의 정보 제공으로 환경오염 최소화 유도를 하는 스마트 그린 시스템이 사물인터넷의 응용 사례 예시이다.
나. 빅데이터 개요, 특징, 6V 소개 및 활용 분야와 사례 제시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범위를 넘어, 방대한 양의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빅데이터는 정형화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진, 동영상, 행동 패턴, 위치 정보, 메타 정보, 센서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정보와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다.
빅데이터의 주요 특징은 데이터의 부피가 크고,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속성이 매우 다양한 데이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는 크기(Volume), 변화의 다양성(Variety), 속도(Velocity)의 3V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특징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부터 효과적인 결과물을 창출해낸다.
이 외에도 빅데이터는 3V를 포함하여 6가지 요소 기술을 가지고 있다.
1) 크기(Volume) : 페타바이트 수준의 방대한 양의 데이터 가질 수 있다.
2) 다양성(Variety) :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소셜 미디어의 동영상, 사진, 대화내용 등) 특징을 가진다.
3) 속도(Velocity) : 실시간으로 생산되며 빠른 속도로 분석 및 유통이 가능하다.
4) 진실성(Veracity) : 의사 결정이나 활동의 배경을 고려하여 이용됨으로써 신뢰를 제공한다.
5) 시각화(Visualization) : 사용자 친화적인 시각적 기능을 통해 빅데이터의 모든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다.
6) 가치(Value) : 비즈니스에 실현될 궁극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빅데이터는 그 활용 분야가 넓은데, 빅데이터 수집 분야에선 크롤링 엔진이나 로그 수집기와 같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 공유 분야에선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저장 활용분야에서는 NoSQL, 병렬 DBMS 등의 기술이 있다. 빅데이터 처리에는 실시간 처리, 분산 병렬 처리 등의 기술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는 통계 분석,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술이 있다. 빅데이터 시각화에는 시간 시각화, 분포 시각화 등의 기술이 있다.
빅데이터의 활용 사례로는 한국석유공사의 국내 유가 예측 서비스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유가의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오피스넷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 1300여개의 주유소로부터 하루 6차례씩 수집된 휘발유 가격 정보를 활용한다.
3. IT융합 기술
가. 융합의 개념 및 RFID, USN의 개념과 활용사례 제시
IT 융합에서 융합의 의미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기술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고유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IT 기술 융합으로 신기술 개발보다 보다 향상된 성능이나 새로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IT 융합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분야의 결합을 통한 ICT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RFID 기술은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의 약자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비접촉 인식장치로 태그와 리더기로 구성된 시스템이다. 자동 인식과 데이터 수집용 무선통신 시스템이며, 바코드 대체 기술로 데이터를 다중으로 인식처리(동시에 여러개 정보읽음)가 가능하다. 거리가 떨어져도 인식, 수백자 분량 정보저장, 개별 제품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RFID의 활용 예시로는 서울시 신교통카드 시스템, 홈플러스 쇼핑카트, 연세의료원 혈액과 처방전약 부착관리 등이 있다.
USN 기술은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약자로 무선 식별 시스템으로서 대상 물체에 부착된 지능 칩과 다양한 센서들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칩과 센서의 결합을 통한 IT 융합 기술의 하나이다.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등의 다양한 센서들이 USN의 활용사례이다.
나. 블록체인의 개념 및 특징, 발전과 활용
블록체인(Block Chain)은 여러 개의 블록을 연결한 체인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블록은 개인과 개인간 거래(Peer to Peer: P2P)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이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거래된 내역이 저장되어 온라인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된다. 블록들은 형성 후, 시간에 따라 차례대로 연결된 사슬 모양의 체인 구조 형태를 하고 있다.
블록체인의 특징으로는 아래와 같다.
1) 중앙 관리자가 필요 없다. 여러 참여자가 체인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증명하기 때문에 중앙 관리자가 필요가 없다.
2) 해킹이 거의 불가능하다. 모든 참여자의 거래 데이터를 공격해야 하므로 해킹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참여자 동의에 의해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참여자의 과반수가 동의한 경우에만 새로운 규칙을 정할 수 있는 것이 블록체인의 특징이다.
블록체인의 발전 과정은 1970년대 후반에 형성되어 2008년 末에 등장하여 이후 현대적인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의 활용 예시로는 비트코인을 들 수 있다. 비트코인에서 블록체인은 암호 화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NFT의 발전에 상당한 기여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사용되었다. 또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간의 스마트 계약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다. NFT의 개념 및 특징, 활용사례 제시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뜻한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이다. 또한 같은 물건이 존재할 수 없는 고유성을 가지며 주민등록증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림,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을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을 NFT로 만드는 것을 '민팅(Minting)'이라 표현한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NFT, 암호 화폐를 결합한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NFT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NFT 종류는 하나가 아니라 수천 또는 수만 개가 존재 가능하다.
2)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NFT 기술 활용은 게임 캐릭터, 음원의 소유, 증권 투자 상품, 주택 대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3) 투기성이 존재한다. NFT는 희소성이 있어 가격 산정이 어려우며, 투기성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NFT의 활용사례에는 특정 트위터 한 줄이 약 35억 원에 팔린 경우도 있고, 그림 파일 하나가 800억 원에 팔리기도 한 경우가 있다. 또한 디지털 콜라주인 작품이 6,900만 달러(약 950억 원)에 낙찰된 사례도 있다. 마찬가지로 2017년에는 고양이 아바타의 거래를 위한 크립토키티스(CryptoKitties) NFT 사례가 있다. 크립토키티스는 가상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게임으로 고양이 캐릭터를 수집하고,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고 팔 수 있는 게임이다. 이렇듯 NFT는 각종 예술품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들의 형태로 생산되고 거래되고 있다.
'study note > 컴퓨터공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공학개론] 유비쿼터스 / 메타버스 / 인공지능 (2) | 2024.02.05 |
---|---|
[컴퓨터공학개론] 컴퓨터 시스템 / 컴퓨터의 역사, 개요 및 구조 (1) | 2024.01.31 |
[컴퓨터공학개론] 소프트웨어 동작 원리 및 운영체제 개념 (3) | 2024.01.31 |
[인공지능 시대의 컴퓨터 개론 개정8판] Chapter 12 : 연습문제 풀이 및 개념 정리 (0) | 2024.01.30 |
[인공지능 시대의 컴퓨터 개론 개정8판] Chapter 11 : 연습문제 풀이 및 개념 정리 (2)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