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의 컴퓨터 개론 개정8판] Chapter 3 : 연습문제 풀이 및 개념 정리
* 모든 문제에 대한 정답은 교재를 참고하였으나 주관적이므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Chapter 03)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 정오식 문제 ]
1.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는 운영체제, 언어 번역 프로그램, 유틸리티 등이 있다. ( ◯ )
2. 컴퓨터의 내부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은 주기억 장치뿐이다. ( ⨉ )
3. 입력 장치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 ◯ )
4. 보조기억 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작업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구성되며 내부 기억 장치라고도 한다. ( ⨉ )
ㄴ 주기억장치의 구성(컴퓨터 시스템 내부)
5. 언어번역 프로그램인 컴파일러는 펌웨어에 속한다. ( ⨉ )
* 시스템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 언어 번역 프로그램 / 유틸리티
* 펌웨어 : ROM에 고정
6. 파일을 압축하거나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은 유틸리티에 속한다. ( ◯ )
* 유틸리티 : 서비스 / 유틸리티 - 정렬, 조합, 편집 프로그램 / 파일 압축 유틸리티 / 디스트 관련 유틸리티
7. 펌웨어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들어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이다. ( ⨉ )
ㄴ ROM에 고정
8. 실행 사이클은 데이터를 페치하고 명령어를 실행하는 CPU의 사이클 중 하나이다. ( ◯ )
* 페치 :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상의 명령 또는 오퍼랜드는 얻으러 가는 것. (*오퍼랜드 : 피연산자, 연산수)
* 명령어의 실행 사이클 :
- 페치 사이클 : 명령 호출 및 명령어 레지스터(IR)에 페치(저장) / 명령어 해석 및 데이터의 유효주소 생성
- 실행 사이클 : 데이터 페치 및 명령어 해독·실행
- 인터럽트 사이클 : 인터럽트 발생 시 두 사이클을 마친 후 실행
9. MAR은 주소 해독기에 의해 해독된 실행 데이터 주소를 임시로 기억하는 제어용 레지스터이다. ( ◯ )
*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MAR)
10. MBR은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의 약자로서, 모든 자료가 거치게 되는 자료 출입용 레지스터이다. ( ◯ )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11. 동적 RAM은 정적 RAM보다 접근 속도가 빠르다. ( ⨉ )
* 동적 RAM = DRAM / 정적 RAM = SRAM / VRAM
* 접근 속도 : SRAM > VRAM > DRAM
12. ROM은 전원이 끊어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 ⨉ )
ㄴ RAM은 휘발성 메모리이다.
13. CISC란 수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처리하는 명렁어의 수를 줄이고 단순한 명령어 구조를 취한 CPU를 의미한다. ( ⨉ )
ㄴ RISC
* 중앙처리장치(CPU) :
- CISC - 단가가 높다. 명령어 수가 많다. 내부 구조 복잡화
- RISC - 단가가 낮다. 명령어 수가 적다. 내부 구조 단순화
14.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인텔 계열과 모토롤라 계열은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 ⨉ )
ㄴ 모토롤라 계열 : RISC 방식 사용. 인텔 계열 소프트웨어와 호환 불가능.
15. PowerPC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텔 계열이 아니라 모토롤라 계열에 속하며 주로 애플 컴퓨터의 매킨토시 계열에 주로 사용된다. ( ◯ )
16. 최근 삼성전자에서 첨단 공법으로 3nm 파운드리 칩이 생산되고 있다. 이때 1나노는 1/10만 m에 해당한다. ( ⨉ )
ㄴ 1/10억m에 해당한다. / * 첨단 공법 = 첨단 GAA 기술
17. 버스의 대역폭이 크면 자료의 송수신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 ◯ )
* 데이터 버스(Data bus) : 컴퓨터의 각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도로
* 대역폭(bandwidth) : 버스의 전송량
[ 단답식/선택식 문제 ]
1. 최근에 널리 쓰이기 시작한 ( )는 USB 드라이브, MP3 플레이어, 인터넷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주로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메모리로 사용된다.
: 낸드 플래시 메모리
* 낸드 플래시 메모리 : 비휘발성 컴퓨터 기억 장치
2. ( )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작업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구성되는데. 내부 기억 장치라고도 한다.
: 주기억장치
3. ( )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OM에 들어 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BIOS가 있다.
: 펌웨어
4. ( )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대체할 차세대 저장 매체로서, HDD보다 가볍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낮은 전력 소모와 안정성이 장점이다.
: SSD
* SSD : Solid State Drive / HDD : Hard Disk Drive
5.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re i3, Core i5는 ( ) 계열에 속한다.
: 인텔
6. 컴퓨터의 ( )란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16비트, 32비트 등이 있다.
: 버스
7. 기억 장치의 계층 중 최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 무엇인가?
: 레지스터
8. 기억 장치의 명령어를 호출하는 단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 페치 사이클(페치 단계)
9. 주기억 장치에 있는 명령어를 임시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 명령어 레지스터(IR)
10.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화 시킨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 펌웨어
11.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중간에 위치하여 장치를 동작시키는 장치는 무엇인가?
: 디바이스 드라이버
12. 주어진 명령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람이 두뇌에 해당하는 컴퓨터 내의 장치는 무엇인가?
: 중앙처리장치
13. 주기억 장치에 있는 명령어를 임시로 기억하며 모든 자료가 거치게 되는 자료 출입용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14. 중앙처리 장치 내의 주요 장치로서 연산과 관련된 자료들을 처리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 연산장치(ALU)
15. 개인이 간단히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기억 장치로서, 공인인증 등 보안인증서 보관에 많이 쓰이는 것은 무엇인가?
: USB Flash Drive(USB 플래시 드라이브)
16. 다음 중 컴퓨터의 기본 시스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중앙처리 장치 ② 기억 장치 ③ 입출력 장치 ④ 소프트웨어
17.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그래픽 툴 ② 어셈블러 ③ Windows 10 ④ 파일 압축 유틸리티
* 어셈블러 - 언어 번역 프로그램 / Windows 10 - 운영체제 / 파일 압축 유틸리티 - 유틸리티
18. 다음 중 하드웨어 성격이 가장 적은 것은?
① 중앙처리장치 ② 펌웨어 ③ 입력 장치 ④ 보조기억 장치
19. 다음 중 입력 장치에 속하는 것은?
① 모니터 ② 플로터 ③ 스피커 ④ 스캐너
* 출력 장치 - 모니터, 플로터, 스피커
20. 다음 중 출력 장치에 속하는 것은?
① 키보드 ② 마우스 ③ 그래픽카드 ④ 터치스크린
* 입력 장치 -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21. 다음 중 언어번역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어셈블러 ②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③ 컴파일러 ④ 인터프리터
*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 운영체제
22. 다음 중 명령어 사이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실행 사이클 ② 페치 사이클 ③ 기억 사이클 ④ 인터럽트 사이클
23. 다음 중 주로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① MBR ② IR ③ MAR ④ GPR
* MBR(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자료 출입용 레지스터
* IR(명령어 레지스터) : 수행 중인 명령어 임시 기억
* GPR(범용 레지스터) : 사용자가 프로그램에서 다목적 활용이 가능
24. 중앙처리 장치와 주기억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고속의 메모리는 무엇인가?
① 캐시기억 장치 ② SRAM ③ DRAM ④ USB
* 캐시기억 장치 : 적은 용량으로 고속 처리 가능
25.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은 것은?
① 운영체제 ② 유틸리티 ③ 펌웨어 ④ 언어 번역 프로그램
26. 다음 중 정적 RAM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집적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다.
② 일정한 주기로 재기억시켜야 한다.
③ 주로 주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④ 고속이며 전원만 있으면 계속 기억된다.
* ①, ②, ③ : 동적 RAM의 특징
27. 다음에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지우거나 변경하기가 유연한 ROM은 무엇인가?
① ROM ② Mask ROM ③ PROM ④ EPROM
* PROM : 필요에 따라 다시 기억시킬 수 있는 장치
* EPROM : 자외선·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 변경이 가능하다.
28. 다음에서 주기억 장치로 별로 쓰이지 않는 것은?
① 동적 RAM ② USB ③ VRAM ④ 조셉슨 소자
29. 다음의 보조기억 장치 중 처리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① 하드디스크 ② SSD ③ USB ④ CD-ROM
* 보조기억 장치 속도 비교 : SSD > 하드디스크 = USB > CD-ROM
30.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SSD ② 펜티엄 IV ③ Core i3 ④ 80386
* 마이크로프로세서 : 연산장치(ALU) + 제어장치(CU) + 레지스터 구성
ex) 인텔 80286, 80386, 80486 / 펜티엄 Ⅰ~ Ⅳ / core i3 등
31. 다음 중 초기의 중대형 컴퓨터에 사용되던 보조기억 장치는?
① 자기 드럼 ② 하드디스크 ③ USB Flash Drive ④ CD-RW
* 중대형 컴퓨터 보조기억 장치 : 자기 디스크 장치(Magnetic Disk) / 자기 드럼 장치(Magnetic Drum)
* 개인용 컴퓨터 보조기억 장치 : 하드디스크 / CD-ROM(CD-RW : 읽기 전용) / USB Flash Drive
32. 플래시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동이 편리한 저장 장치로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도 매우 간편하며 큰 공항의 파일을 가지고 다닐 때나 파일을 옮길 때 편리한 보조기억 장치는 무엇인가?
① DVD-RAM ② CD-ROM ③ Zip ④ USB Flash Drive
33. 다음 중 CISC 계열에 해당하는 것은?
① 명령어의 수를 줄인 것
② 인텔 계열
③ 주로 워크스테이션에 쓰임
④ 비교적 단순화된 명령어로 구성
* 명령어 구성 방식에 따른 중앙처리 장치의 종류 :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CISC :
- 다양한 명령어 형식, 명령어 수가 많다.
- 구조가 복잡하다.
- 생산 단가가 높다.
- 인텔 계열 사용.
- 발전에 한계가 있다.
* RISC :
- 명령어 수가 적다.
- 구조가 단순하다.(제어 논리 단순화)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로 구성된다.
- 생산 단가가 낮다.
- 워크스테이션 사용.
- 처리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가능하다.